본문 바로가기
Coding Test/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Lv.1 K번째수

by CSEGR 2024. 2. 25.
728x90

➕Arrays.copyOfRange()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2. 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3.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4.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입출력 예

array commands return
[1, 5, 2, 6, 3, 7, 4] [[2, 5, 3], [4, 4, 1], [1, 7, 3]] [5, 6, 3]

 

 

<내가 푼 코드>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commands) {
        int[] answer = new int[commands.length];
        int k ;
        for(int i = 0; i<commands.length; i++)
        {
            int[] arr = new int[commands[i][1]-commands[i][0]+1];
             k = 0;
            for(int j = commands[i][0]; j<= commands[i][1]; j++)
            {
                arr[k] = array[j-1];
                k++;
            }
            Arrays.sort(arr);
            answer[i] = arr[commands[i][2]-1];
        }
        return answer;
    }
}

좀.. 지저분 하다. 내가 푼 알고리즘은 

1. i 부터 j 번째까지 자른 배열을 넣을 arr를 선언하고 원소를 넣는다. 

2. arr를 sort함수를 사용하여 오름차순 정렬 한다. 

3. k번째로 큰 수를 answer 배열에 넣는다. 

 

문제를 풀고나서 보니, 이중 for문을 쓸 필요가 없었다. 

과정 1을 위한 for문을 Arrays.copyOfRange()함수를 쓰면된다. 

 

🟣Arrays.copyOfRange(복사할 배열, 시작 인덱스, 끝 인덱스)

: 복사되는 배열은 시작 인덱스부터 (끝 인덱스 -1) 원소를 담게 된다.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copyOfRange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1 = {1, 2, 3, 4, 5};
        int[] arr3 = Arrays.copyOfRange(arr1, 1, 3);

    }
}
// arr3 = [2,3];

 

 

<새로운 코드>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rray, int[][] commands) {
        int[] answer = new int[commands.length];

        for(int i=0; i<commands.length; i++){
            int[] arr = Arrays.copyOfRange(array, commands[i][0]-1, commands[i][1]);
            Arrays.sort(arr);
            answer[i] = arr[commands[i][2]-1];
        }

        return answer;
    }
}

알고리즘은 똑같지만, 함수를 씀으로 인해 이중 for문을 돌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