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지식/네트워크5 [네트워크] HTTP 프로토콜 개요 & HTTPS ✔️ HTTP 프로토콜이란?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이다. ✔️ HTTP 프로토콜의 특징TCP/IP 기반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토콜이다.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connectionless) 프로토콜이다. 상태가 없는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이다. 요청/응답 방식으로 동작한다. ➕ 비연결성(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한 번 연결을 맺은 후,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서버가 응답을 마치면 맺었던 연결을 끊는다. 장점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방식이다. 수십 만 명이 웹 서비스를 사용하더라도 접속 유지는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 2024. 9. 4. [네트워크] TCP & UDP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계층에서는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있는데, 그 프로토콜들에는 TCP와 UDP가 있다.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란, 인터넷을 통해 디바이스에서 웹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결 지향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연결을 설정하여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서비스이다. TCP프로토콜을 이용하.. 2024. 9. 1. [네트워크] TCP/IP 흐름 제어 & 혼잡 제어 ✔️ 흐름 제어란?흐름제어는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이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를 사용한다. 수신측의 처리 속도보다 송신측의 처리 속도가 더 빠른 경우, 수신측 버퍼가 제한된 저장 용량을 초과한 이후에 도착하는 패킷은 손실 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패킷 전송을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흐름제어이다. TCP 버퍼송신측은 버퍼에 TCP 세그먼트를 보관한 후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은 도착한 TCP 세그먼트를 애플리케이션이 읽을 때까지 버퍼에 보관한다. ✔️ Stop and Wait Stop and Wait는 매번 전송한 패킷에 대해 확인 응답(ACK)을 받으면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2024. 8. 31. [네트워크] TCP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 프로토콜 (Protocol) 프로토콜(protocol)이란 컴퓨터 또는 전자기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정한 통신 규약이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가 상호간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 같은 방법으로 통신해야한다. 예를 들면, 어떻게 상대를 찾고 어떻게 상대에게 이야기하고 어떠한 언어로 이야기를 하며 어떻게 이야기를 종료할지 등과 같은 규칙을 정해야한다. ✔️ IP(Internet Protocol)IP(Internet Protocol)란 인터넷 환경에서의 통신 규약이다.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Transm.. 2024. 8. 30. [네트워크] OSI 7 계층 ✔️ OSI 7계층 이란?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 계층을 나눈 이유네트워크의 안정성, 신뢰성, 유지보수성을 위해서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 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흐름을 한 눈에 알아보기 쉽고, 7계층 중 특정한 계층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 ➕ 1 계층 - 물리 계층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통신 단위는 비트이며 1과 0을 이용한다.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달만 할 뿐.. 2024. 8.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