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O IT! 클론 코딩 twitter

Do it! 클론 코딩 트위터(1)

by CSEGR 2024. 2. 6.
728x90

 

visual studio를 이용해서 react앱을 실행하고자 한다. 

우선 github와 연결하고자 하는데 push하는 부분에서 계속 오류가 났다. 

$git remote -v를 쳐보면 현재 설정된 원격 저장소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http://github.com/parkgyul/nwitter.git으로 되어 있어야할 원격 저장소 주소가 다른걸로 등록되어 있었다. 

그래서 url을 새로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git remote set-url orign http://github.com/parkgyul/nwitter.git 을 사용하여 

새로운 URL을 연결시켜준다. 

$git remote -v를 쳐보면 현재 연결된 원격저장소의 url을 나타내준다. 

 

$git add . -> 변경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리는 것을 얘기함. 

$git commit (-m "message") ->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변경사항을 로컬 저장소에 기록하는 과정 

$git push origin master -> 로컬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origin 원격 저장소에 푸시하는 명령

$git checkout <name of new branch> : 새로운 branch로 이동

$git checkout -b <name of new branch> : 새로운 branch 생성 및 이동

 

+) origin/master 

  • origin:
    • origin은 원격 저장소의 이름이며, 일반적으로 GitHub 또는 GitLab과 같은 호스팅 서비스에 프로젝트를 연결할 때 사용됨. 
    • git remote -v 명령으로 현재 설정된 원격 저장소의 URL을 확인가능. 
  • master:
    • master는 Git 저장소의 기본 브랜치 이름 중 하나임. 기본적으로 첫 번째 브랜치는 master로 설정되지만, 최신 버전의 Git에서는 main으로도 설정할 수 있음. 
    • git branch 명령으로 현재 사용 중인 브랜치를 확인할 수 있음. 

따라서 git push origin master 명령은 로컬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origin 원격 저장소에 푸시하는 명령임. 이는 로컬의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는 작업임. 

 

 

‼️02-4 파이어베이스 설정하기 

리액트 프로젝트에 파이어베이스를 연동 =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생김.

</> : 웹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기

파이어베이스 SDK 리액트 버전을 누이터에 설치 

728x90

'DO IT! 클론 코딩 twi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 it! 클론 코딩 트위터 (4)  (0) 2024.02.18
Do it! 클론 코딩 트위터 (3)  (1) 2024.02.06
Do It! 클론 코딩 트위터 (2)  (0) 20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