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설명
문제
눈금의 간격이 1인 M×N(M,N≤100)크기의 모눈종이가 있다. 이 모눈종이 위에 눈금에 맞추어 K개의 직사각형을 그릴 때, 이들 K개의 직사각형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M=5, N=7 인 모눈종이 위에 <그림 1>과 같이 직사각형 3개를 그렸다면, 그 나머지 영역은 <그림 2>와 같이 3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림 2>와 같이 분리된 세 영역의 넓이는 각각 1, 7, 13이 된다.
M, N과 K 그리고 K개의 직사각형의 좌표가 주어질 때, K개의 직사각형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지, 그리고 분리된 각 영역의 넓이가 얼마인지를 구하여 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M과 N,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M, N,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0,0)이고,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N,M)이다.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7 3
0 2 4 4
1 1 2 5
4 0 6 2
예제 출력 1 복사
3
1 7 13
✔️ 문제 풀이
문제로 부터 입력받은 꼭짓점의 좌표를 좌표로 바꾸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꼭짓점을 배열좌표로 바꾸는 과정만 수월하게 되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다.
이미 arr 에 색칠되어 있는 부분이 boolean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visited 배열이나 Queue 를 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bfs가 아닌 dfs 알고리즘을 택하였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class Main{
static int m, n, square ;
static boolean[][] arr;
static ArrayList<Integer> result;
static int cnt = 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quar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 = new boolean[m][n];
result = new ArrayList<Integer>();
for(int i = 0; i< square; i++){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left_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left_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eft_j = m-1-left_j;
arr[left_j][left_i] = true;
int right_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right_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right_i -= 1;
right_j = m- right_j;
arr[right_j][right_i] = true;
for(int j = left_j; j>= right_j; j --){
for(int p = left_i; p <= right_i; p++){
arr[j][p] = true;
}
}
}
for(int i = 0; i<m; i++){
for(int j = 0; j<n; j++){
if(!arr[i][j]){
cnt= 1;
arr[i][j] = true;
dfs(i,j);
result.add(cnt);
}
}
}
Collections.sort(result);
System.out.println(result.size());
for(int i = 0; i < result.size(); i++){
System.out.printf("%d ", result.get(i));
}
}
public static void dfs(int i, int j){
int[] di = {1,-1,0,0};
int[] dj = {0,0,1,-1};
for(int dir = 0; dir < 4; dir++){
int next_i = i + di[dir];
int next_j = j + dj[dir];
if(next_i < 0 || next_i >= m || next_j <0 || next_j >= n)
continue;
if(arr[next_i][next_j])
continue;
arr[next_i][next_j] = true;
cnt ++;
dfs(next_i,next_j);
}
}
}
'Coding Test > 백준 알고리즘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283 단축키 지정 : 실버 1(java) - 구현 (0) | 2025.03.14 |
---|---|
[백준] 4963 섬의 개수 : 실버 2(java) - BFS (0) | 2025.03.09 |
[백준] 1913 달팽이 : 실버 3 (java) - 구현 + "2% 오류, 60% 오류" (0) | 2024.11.30 |
[백준] 10026 적록 색약 : 골드 5 (java) - bfs & dfs (0) | 2024.11.28 |
[백준] 20006 랭킹전 대기열 : 실버 2 (java) - 구현 (0)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