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지식23 [네트워크] TCP/IP 흐름 제어 & 혼잡 제어 ✔️ 흐름 제어란?흐름제어는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이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를 사용한다. 수신측의 처리 속도보다 송신측의 처리 속도가 더 빠른 경우, 수신측 버퍼가 제한된 저장 용량을 초과한 이후에 도착하는 패킷은 손실 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패킷 전송을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흐름제어이다. TCP 버퍼송신측은 버퍼에 TCP 세그먼트를 보관한 후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은 도착한 TCP 세그먼트를 애플리케이션이 읽을 때까지 버퍼에 보관한다. ✔️ Stop and Wait Stop and Wait는 매번 전송한 패킷에 대해 확인 응답(ACK)을 받으면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2024. 8. 31. [네트워크] TCP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 프로토콜 (Protocol) 프로토콜(protocol)이란 컴퓨터 또는 전자기기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정한 통신 규약이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가 상호간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서로 같은 방법으로 통신해야한다. 예를 들면, 어떻게 상대를 찾고 어떻게 상대에게 이야기하고 어떠한 언어로 이야기를 하며 어떻게 이야기를 종료할지 등과 같은 규칙을 정해야한다. ✔️ IP(Internet Protocol)IP(Internet Protocol)란 인터넷 환경에서의 통신 규약이다.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TCP(Transm.. 2024. 8. 30. [네트워크] OSI 7 계층 ✔️ OSI 7계층 이란?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 계층을 나눈 이유네트워크의 안정성, 신뢰성, 유지보수성을 위해서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 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흐름을 한 눈에 알아보기 쉽고, 7계층 중 특정한 계층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 ➕ 1 계층 - 물리 계층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통신 단위는 비트이며 1과 0을 이용한다.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달만 할 뿐.. 2024. 8. 29. [운영체제]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은 커널영역(Kernel-mode)에서 하는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이다.✔️ IPC가 필요한 이유프로세스는 각각 OS로부터 할당된 독립된 공간에서 실행된다.독립적으로 실행된다는 것은 다른 프로세스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스레드는 프로세스 안에서 자원을 공유하므로 다른 스레드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 각각 독립된 공간을 가진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필요한 통신이 IPC 통신이다. 프로세스는 커널 영역(Kernel-mode)에서 커널(Kernel)이 제공하는 IPC 설비를 통해 프로세스들 간에 통신(=IPC 통신)을 한다. ✔️IPC 모델(종류)➕ Shared Memory : 공유 메모리 Shared Memor.. 2024. 8. 28. [운영체제] I/O 처리 방식 : Synchronous/Asynchronous & Blocking/Non-Blocking ✔️ Synchronous(동기) vs Asynchronous(비동기)►Synchronous : 요청이 들어온 순서에 맞게 하나씩 처리하는 방식으로, 요청 후 결과가 와야만 다음 작업이 이루어짐. ↕︎►Asynchronous : 하나의 요청이 끝나기 전에 다른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방식 ►Synchronous (동기)Synchronous(동기)의 경우 요청된 작업이 완료되어야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Asynchronous (비동기)Asynchronous(비동기)의 경우 요청된 작업의 완료 여부를 따지지 않고 바로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호출되는 함수에게 callback을 전달해서 작업을 완료하면 실행하도록 한다. ➕ Callback :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특정 .. 2024. 8. 27. [운영체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운영체제는 주기억장치(Main Memory) 보다 더 큰 용량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일부만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여 사용한다. 이를 가상메모리 기법이라고 한다. ✔️ 페이지 교체(page replacement)란?페이지 교체란 ? 페이징 기법으로 메모리를 관리하는 운영체제에서 필요한 페이지가 주기억장치(=Main Memory)에 적재되어 있지 않을 시, 해당 페이지를 찾아 주기억장치의 빈 프레임에 로딩해야한다.하지만 이때 빈 프레임이 없을 경우 1)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페이지 중 하나를 디스크로 쫓아내(page-out), 2)메모리에 빈 공간을 확보한 후 3)새로운 페이지를 메모리에 올려야한다(page-in).이러한 과정이 페이지 교체(page replacement) 이다. • Victim.. 2024. 8. 26. 이전 1 2 3 4 다음